영화
Advertisement
Gnome globe current event 이 문서는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이 글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Clockimportant
Broom icon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이 문서를 정리해 주세요.

이 글은 영화의 형식을 나열하고 소개하는 글이다.

표준사이즈 영화[]

극장용 영화는 토머스 에디슨(미국)과 뤼미에르 형제(프랑스)의 발명 이래 파퍼레이션(필름輪動用 구멍)이 뚫린 35mm나비의 필름이 쓰였으며, 그 화면의 가로·세로의 비율도 4대 3(1.33대 1)을 지켰었다. 토키 이후 사운드 트랙을 녹음하기 위하여 가로 나비가 좁아지고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이 된 때도 있었으나 오래지 않아서 세로의 치수를 줄여서 원래의 1.33대 1의 비율로 돌아와 오랫동안 표준 사이즈로 되어 있었다. 이 사이즈는 현재도 변함이 없으나, 와이드 스크린 시대의 출현에 따라 사실상 '표준 영사(映寫) 사이즈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와이드스크린 영화[]

1950년대에 들어서서 텔레비전 보급에 대항하기 위하여 영화계는 와이드스크린(wide­screen) 영사법을 개발, 새로운 단계를 맞이했다. 현재의 극장용 영화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와이드 스크린 영사용으로 제작되어 있다. 와이드스크린 영화는 한때 여러 가지 규격으로 나왔었으나 현재에는 다음 방식으로 통일되었다고 할 수 있다.

Totem bw 이 부분은 영화에 관한 부분 토막글입니다. 서로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시네마스코프 사이즈[]

시네마스코프 사이즈(Cinema Scope size)는 표준 필름을 사용하는데, 촬영용 렌즈로 에너머퍼틱 렌즈를 사용, 화상(畵像)을 좌우 2:1로 압축하고, 영사할 때에는 이를 반대로 좌우를 2배로 확대하는 에너머퍼틱 렌즈를 사용하여 영사 화면의 가로 세로의 비율을 2.35대 1로 한다. 이 방식은 프랑스의 앙리 크레티앙의 발명에 의한 것으로 1953년에 20세기 폭스가 채용, <성의(聖衣)>가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로 공개된 이래 와이드 스크린 영화의 표준 사이즈로서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시네마스코프'란 명칭은 20세기 폭스의 등록명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명칭이 있고, 또 촬영기도 광학계(光學系)의 기구에 여러 가지 특색을 지닌 것이 있다. 수퍼스코프파나비전, 토틀스코프 등, 명칭도 다양하게 상당한 숫자가 있으나, 현재에는 시네마스코프 사이즈로서의 영사화면의 규격이 통일되어 있다. 촬영에 있어서도 애너머퍼틱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도 있다. 네가화면 2롤분을 찍어서 필름을 옆으로 돌려, 촬영한 네가를 프린트 작업으로 1롤의 화면 사이즈로 좌우를 압축하는 테크니라마, 표준 사이즈인 네가화면의 상하를 자르고 좌우를 압축하는 수퍼스코프 등이 그 주된 것인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촬영에 에너머퍼틱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으로 현재 쓰이고 있는 것은 테크니스코프인데, 이것들은 1롤분의 네가를 2롤분씩 촬영하여 프린트로 표준 프레임 사이즈로 확대함과 동시에 좌우를 압축하여서 시네마스코프와 같은 영사법이 가능한 포지 필름으로 만드는 것이다. 화면의 해상력(解像力)은 조금 떨어지지만 네가코스트가 절반이 된다는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스타비전 사이즈[]

비스타비전 사이즈(Vista Vision size)는 1953년에 미국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발표한 것으로서, 2롤분의 네가사이즈로 촬영한 것을 그대로 1롤분으로 축소 프린트하여 대형 스크린 영사에 적합한 선명도(鮮明度) 좋은 화면을 얻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영사에 에너머퍼틱 렌즈가 필요 없으며 화면의 가로 세로의 비는 1.85대 1 내지 1.66대 1이다. 요새는 사용되지 않으나 표준 사이즈의 네가의 상하를 잘라서 영사하는 이른바 와이드 스크린 영사법을 답습하고 있다(표준 필름의 와이드 영사는 1.66대 1이 보통이다).

시네라마[]

시네라마(Cinerama)는 미국의 발명가 프레드 월러가 고안한 3대의 촬영기로 동시에 촬영한 필름을 3대의 영사기로 영사하는 시스템이다. 1952년에 발명되어 대형 영화의 선구가 되었으나, 1962년 이래 1대의 촬영기와 영사기를 사용하는 70mm판으로 개량되었다. 만곡도(彎曲度)가 큰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고 화면의 가로 세로의 비는 2대 1로 되어 있다.

70mm 대형영화[]

1955년에 발표된 70mm 너비의 대형 필름을 사용하는 토드 A. O.(제1작은 <오크라호마!>) 이후 초(超)와이드 스크린 시대를 개척한 시스템으로서, 촬영에 애너머퍼틱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것(토드 A. O. 수퍼 테크니라마, 파나비전 70 등)과 촬영할 때 애너머퍼틱 렌즈를 사용하는 것(울트라 파나비전, MGM 카메라 65 등)이 있는데 모두가 영사용 프린트는 70mm의 대형 필름으로, 애너머퍼틱 렌즈는 사용치 않고 표준화되어 있다. 화면의 가로 세로의 비는 시네라마와 같이 2대 1이다.

입체영화[]

입체영화의 기술은 오랜 전부터 개발되어 왔으나 좌우의 눈의 시차(視差)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준다는 원리는 변함이 없다. 1953년에 폴라로이드(偏光) 안경을 사용하는 입체영화가 출현하여 한때 유행했으나 2대의 영사기를 동시에 돌리고, 또 안경을 필요로 한다는 불편 때문에 오래 가지 못했다. 현재 특수 스크린과 영사 각도에 따른 안경이 필요 없는 입체영화를 러시아와 그 밖의 여러 나라에서 연구하고 있는 형편이다.

다중스크린 시스템[]

1950년대체코에서 라테르나 마지카라는 스크린을 여러 개로 분할한 새로운 표현 방법이 발표된 이래, 영화의 시각적 기능의 다면성(多面性)을 탐구하는 시스템이 활발해졌다. 십수대의 영사기를 사용하여 360도의 원형 스크린에 영사하는 서큐라마를 비롯하여, 몬트리올의 EXPO 67로 주목된 체코키노 오토마트디아포리에크랑, 캐나다의 5면의 스크린을 사용한 라비링스, 그 밖에 허다한 방식이 있어, 장래의 영화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바가 많다.

소형영화[]

소형영화에는 널리 알려진 대로 16mm와 8mm가 있다. 종래에는 아마추어용으로밖에 사용되지 않았으나 광학계(光學系)와 감광재료의 발달에 따라 프로페셔널 용도에 쓰이게 되었고, 특히 16mm는 TV 영화의 발달에 따라 이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 8mm 영화도 실험영화에 쓰일 만큼 그 기능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또 소형영화는 자기녹음법(磁氣錄音法)의 발달로 토키화(化)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본 문서에는 다음에서 GFDL로 공개한 백과사전인 글로벌 세계대백과의 설명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dvertisement